맨위로가기

경숙옹주 (성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숙옹주는 조선 성종의 딸로, 여흥 민씨 민자방에게 시집갔다. 그녀는 무산군, 휘숙옹주, 휘정옹주와 남매 관계이며, 연산군과 중종은 이복 오빠와 동생이다. 경숙옹주는 민자방과의 사이에서 민희열을 낳았고, 민희열의 후손 중 정빈 민씨가 선조의 후궁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83년 출생 - 마르틴 루터
    마르틴 루터는 1483년 독일에서 태어난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가로, '오직 믿음으로' 칭의 교리를 확립하고 95개 논제를 발표하여 종교 개혁을 촉발했으며, 독일어 성경 번역과 성직자 결혼 허용에 기여했으나 후기에는 반유대주의적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 1483년 출생 - 바부르
    바부르는 티무르 제국 후예이자 무굴 제국 창시자로, 페르시아어로 '호랑이'를 뜻하는 별칭을 가졌으며, 권력 다툼 끝에 카불을 정복하고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화약 무기를 지원받아 1526년 파니파트 전투에서 로디 왕조를 격파하고 무굴 제국을 건설한 군사 전략가이자 시인이다.
  • 16세기 사망 - 귀인 남씨
    의령 남씨 출신인 귀인 남씨는 성종의 후궁으로, 성종의 총애를 받았으나 사후 연산군과의 간통, 사헌부의 탄핵 등의 물의를 빚었으며, 월산대군의 며느리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 16세기 사망 - 학조
    학조는 조선 세조부터 중종 때까지 활동한 승려로, 세조의 신임을 얻어 불경 번역 및 간행, 사찰 중건 및 중수, 팔만대장경 보존 등 불교계에 기여했으나, 왕실과의 친분을 이용한 이권 개입과 간통 사건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으며, 그의 부도는 보물로 지정되어 불교 문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 조선 성종의 자녀 - 견성군
    견성군 이돈은 조선 성종의 아들로 연산군 시대에 횡포와 부정행위를 저질렀으나 중종반정 이후 공신이 되었고, 이후 모반 사건에 연루되어 사사된 후 신원된 파란만장한 생애를 살았다.
  • 조선 성종의 자녀 - 정숙옹주 (성종)
    정숙옹주는 조선 성종과 숙의 홍씨의 딸로, 영평위 윤섭에게 출가하여 사후 양자를 들여 의지하며 장수하고 예법을 중시한 삶을 살았으며, 사망 후 선조가 장례를 치르도록 했다.
경숙옹주 (성종)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경숙옹주
작위옹주
합환(合歡)
출생일1483년 9월 19일(음력 8월 9일)
출생 장소조선
사망일미상
능묘경숙옹주 묘 (경기 부천시 작동 산57-2)
가족 관계
왕가조선 왕조
아버지성종
어머니명빈 김씨
친척덕종(조부), 연산군(이복오빠), 중종(이복동생) 등
배우자여천위 민자방(驪川尉 閔子芳)
자녀1남 (민희열(閔希說))
기타
관련 정보본인의 태지(胎誌)에 '皇明成化十九年捌月初玖日丑時生'으로 기록되어 있다.

2. 가족 관계

구분관계이름출생-사망
친정
전주 이씨
조부추존 덕종대왕1438년 ~ 1457년
조모소혜왕후 청주 한씨1437년 ~ 1504년
아버지성종대왕1457년 ~ 1494년
외가
안동 김씨
외조부효소공 김작1427년 ~ 1488년
어머니명빈 김씨? ~ ?
동복 형제/자매휘숙옹주생몰년 미상
휘정옹주, 무산군휘정옹주 생몰년 미상, 무산군 종 1490년 ~ 1525년
시가
여흥 민씨
시아버지영유현령 민종원? ~ ?
부마민자방? ~ ?
아들군수 증 참판 민희열1510년 ~ ?
며느리전주 이씨 (이의번의 딸)? ~ ?
손자/손녀증 승지 민홍준1528년 ~ ?
민의준, 민사준, 민정준, 민전향, 민옥향, 민연향, 민종향민사준 1537년 ~ ?, 민정준 1542년 ~ ?, 민전향 1530년 ~ ?, 민옥향 1538년 ~ ?, 민연향 1540년 ~ ?, 민종향 1545년 ~ ?



성종의 이복 형제로는 폐비 윤씨 소생의 연산군과 정현왕후 소생의 중종이 있었다. 경숙옹주의 시아버지는 민종원이며, 남편은 민자방이다. 민자방과의 사이에서 아들 민희열과 딸 민전향, 민옥향, 민연향, 민종향을 두었다. 며느리는 전주 이씨이며, 손자로는 민홍준, 민의준, 민사준, 민정준이 있다. 민사준의 며느리는 신창 맹씨이며, 이들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 선조의 후궁 정빈 민씨이다. 민희열은 다른 측실에게서 서녀를 두었는데, 이 서녀는 이지에게 출가하였다.[2][3]

2. 1. 친정 전주 이씨(全州 李氏)

경숙옹주의 친정은 전주 이씨이다. 조부는 추존 덕종(1438~1457)이고, 조모는 소혜왕후 청주 한씨(1437~1504)이며, 외조부는 효소공 김작(1427~1488)이다.

아버지는 조선 제9대 왕 성종(1457~1494, 재위 1469~1495)이고, 어머니는 명빈 김씨 안동 김씨이다.

동복 형제로는 언니 휘숙옹주(생몰년 미상), 휘정옹주(생몰년 미상), 남동생 무산군 종(1490~1525)이 있다.

2. 1. 1. 본가(本家)


아버지어머니이복 형제/자매 및 동복 형제/자매
성종대왕(1457~1494, 재위 1469~1495)폐비 윤씨(1455~1482)연산군(1476~ 1506, 재위 1494~1506)
정현왕후 파평 윤씨(1462~1530)중종대왕(1488~1544, 재위 1506~1544)
명빈 김씨 안동 김씨휘숙옹주(생몰년 미상), 휘정옹주(생몰년 미상), 무산군 종(1490~1525)


2. 1. 2. 외가(外家)

외조부는 효소공 金碏|김작중국어(1427~1488)으로 안동 김씨이다.[2]

2. 2. 시가 여흥 민씨(驪興 閔氏)

민종원(永柔縣令 閔宗元)의 아들 민자방(閔子芳)에게 출가하였다.

민자방과의 사이에서 군수(郡守)를 지내고 참판(參判)에 추증된 아들 민희열(閔希說)을 두었다. 민희열은 사과(司果) 이의번(李義蕃)의 딸 전주 이씨와 혼인하여 증 승지(贈 承旨) 민홍준(閔弘俊), 진사(進士) 민의준(閔毅俊), 부사(府使) 민사준(閔士俊), 현감(縣監) 민정준(閔廷俊)을 낳았다. 민사준은 맹익선(孟益善)의 딸 신창 맹씨와 혼인하였는데, 이 둘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 선조의 후궁 정빈 민씨이다.[2][3] 민희열은 다른 측실에게서 서녀를 두었는데, 이 서녀는 부사(府使) 이지(李芝)에게 출가하였다.

민자방과 경숙옹주의 딸들로는 민전향(閔荃香),[2] 민옥향(閔玉香), 민연향(閔蓮香),[3] 민종향(閔終香)이 있다.

참조

[1] 문서
[2] 문서
[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